미숑이의 블로그
블로그 홈소개

© 2025 Ryu Mi Sung. All rights reserved.

목차

대회 소개
행사 일정 및 과정
느낀점
해커톤회고

[해커톤]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X AWS 'Gen AI Playground Hackathon' 🏅우수상🏅 회고

류미성
2024년 11월 18일

e3348bd2-88ea-4c93-ac54-dbdb363a2e78.png

대회 소개

🔗 대회 공고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사업단과 AWS Korea, 카우치베이스, 넥스트 클라우드, 캔바가 함께하는 GEN AI 해커톤입니다.

  • 행사기간 : 2024년 11월 8일(금) ~ 11월 9일(토) *무박 2일 진행
  • 행사장소 : 올댓마인드 신논현점
  • 참가대상 : 숙명여대 재/휴학생 및 캠퍼스타운 입주팀, 서울 소재 대학교 학부생
  • 세부일정:
    • 참가확정: 2024년 10월 31일(목)
    • 오리엔테이션: 2024년 11월 1일(금) 오후 6시(온라인)
    • 사전교육: 2024년 11월 2일(토) 오전 9시30분 ~ 오후 5시, 명동 이비스 호텔 지하1층
    • 해커톤(본행사): 2024년 11월 8일(금) ~9일(토), 올댓마인드 신논현점 3층

행사 일정 및 과정

a1e75d19-2185-43aa-a71c-5f180d79205a.png

[팀 구성]

한 팀당 3~5인으로 구성해야 해서, 개발 동아리 부원들과 함께 5인 1팀을 이루어 참가하였다. 나를 제외한 다른 팀원들은 모두 Back-end 경험이 있었다.

[준비 과정]

  • 11/1 (금)

    온라인 OT에서 주제가 공개가 되었는데, 사실상 자유 주제였어요.

a5e8620a-9251-4a81-87e0-6a08553a2594.png

  • 11/4 (월)

    팀원들간 주제 선호도 조사를 하고, 대면 회의를 통해 주제를 확정하였습니다.

  • 11/5 (화)

    다음날인 화요일에 날라온 slack 메세지 🥲

    467b690f-38a1-4552-ac66-0e081fe22dc5.png

    행사 주최 기관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던 탓에, 주제가 푸드테크라는 걸 뒤늦게 알게 되었어요. 그래서 아이데이션을 다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 11/7 (목)

    오전 회의에서는 기능을 확정하고 업무를 분담한 뒤,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했어요. 저녁 회의에서는 각자의 작업 내용을 점검하며, 서비스 기능이 너무 과도하다고 판단해 범위를 줄였습니다. 해커톤의 특성에 맞게 제한된 시간 안에 구현 가능한 기능으로 조정한 거죠. 이때 저는 화면설계서를 작성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 11/8 (금) - 당일

    집합 시간인 오후 5시 전에 해커톤 장소 근처에서 미리 모여 각자 맡은 사전 작업을 마무리했어요.

[확정된 기획]

  • 자영업자를 위한 AI 기반 맞춤형 SNS 콘텐츠 제작 서비스

[개발]

5시에 오프닝과 자리 세팅을 마친 뒤, 저녁 식사 후 바로 개발을 시작했어요.

image.jpeg

저는 처음으로 Streamlit을 세팅하며 작업을 진행했는데, 파이썬으로 웹사이트를 만든다는 점이 무척 신기했습니다. 몇 줄의 코드만으로 HTML, CSS, 서버 연결까지 구현되는 걸 보면서 놀랍기도 했어요. 실제 데이터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고 들었는데, 프론트엔드를 지망하는 제 입장에서는 직접 쓸 기회가 많지는 않더라도 새로운 툴을 알게 된 건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

이번 해커톤이 특히 달랐던 점은 현직 멘토들이 상주하며 함께했다는 사실이에요. 무박 2일 동안 학생들이 개발을 진행하는 동안, 멘토분들도 우리와 함께 밤을 새우며 문제 해결을 도와주셨습니다. 🥹 2~3시간 동안 해결하지 못하고 붙잡고 있던 문제를 멘토님들의 도움으로 단 10분 만에 해결한 경우도 여러 번 있었어요.

밤 10시에는 멘토 5~6명과 함께하는 멘토링 시간이 열렸습니다. 각 팀이 기획과 아키텍처를 설명하고 피드백을 받는 시간이었는데, 우리 팀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 멘토 A: 상용화 시 비용적인 측면이 우려된다.
  • 멘토 B: 유료 서비스로 출시하더라도, 마케팅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는 소상공인이라면 기꺼이 비용을 지불할 가능성이 있다.
  • 멘토 C: 해커톤에서는 비용보다는 서비스 완성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

현직자분들 중 일부는 실제 상용화 시 우려되는 부분까지 짚어주셨는데, 저희와 같은 학생들이 쉽게 놓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관점까지 다뤄주신 점이 특히 인상 깊었어요. 해커톤 특성상 시간 제약 때문에 모든 피드백을 반영할 수는 없었지만, 발표 자료를 준비하면서 멘토들의 조언을 참고해 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설득력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image_%281%29.jpeg

[서비스 소개]

🔗 숙명여대 캠퍼스타운 X AWS 'Gen AI Playground Hackathon' 출품작 'Promi' 서비스 소개 페이지

[발표]

5분 동안 시연 영상과 함께 발표를 진행해야 합니다.

image_%282%29.jpeg

[수상]

발표 자료 제출 마감 5분 전에야 간신히 개발을 마쳤기에 솔직히 수상은 전혀 기대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뜻밖에 입상을 하게 되어 정말 기뻤습니다. 무엇보다 개발도 잘하고 발표도 훌륭했던 팀들이 많았던 만큼, 더 의미 있게 다가왔어요.

image_%283%29.jpeg


느낀점

AI를 활용한 해커톤은 이번이 처음이었는데, 사전에 준비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훌륭한 서비스를 발표한 팀들이 많았어요. 우리 팀이 수상할 수 있었던 이유를 돌아보면,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제한된 시간 안에 복잡한 아키텍처를 구축해 결과를 도출해낸 점이 컸던 것 같습니다. 또 기획적인 측면에서는 행사 주최 기관인 캠퍼스타운에 실제로 도입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라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생각해요.

저는 Back-end 경험이 없어 서비스 구축에 직접적으로 크게 기여하지는 못했지만, Front-end 구현을 위해 처음으로 Streamlit을 다뤄보았고, AI의 깊고 넓은 세계를 조금이나마 경험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