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숑이의 블로그
블로그 홈소개

© 2025 Ryu Mi Sung. All rights reserved.

목차

2024-2 졸업작품 발표회
발표회 준비 과정
발표회 당일
마무리
졸업작품회고

[체크메이트] 2024-2 졸업작품 발표회 회고

류미성
2024년 9월 27일

2024-2 졸업작품 발표회

  • 1학기부터 준비했던 졸업작품 발표회가 9월 27일에 열렸다. (6개월 과정의 마무리)
  • 소프트웨어학부 학생이라면 누구나 참관이 가능하며,
  • 그동안 서비스에 도움을 주신 교내 SW중심대학사업단의 교직원 분들도 메일로 초대드렸습니다.

2ff02408-bc66-4c2e-9565-f567e4fffdfa.png

발표회 준비 과정

[발표자료]

발표회를 앞두고 발표 자료를 제작해 지도 교수님께 보여드렸고, 여러모로 유익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예전에 직접 제작해 투자자 유치에 성공했던 발표 자료도 보여주셔서 큰 참고가 되었어요.

  • 구현된 기능에 비해 발표 자료에 기능이 부족
  • 다양한 이미지 자료 활용 필요
  • 상세 기능 소개 시, 해당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도록 수정

특히 첫 번째 피드백을 받고 팀원들과 많은 고민을 나눴습니다. 10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기능을 충분히 설명하면서도 라이브 시연까지 마치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 고민 끝에 내린 결론은,

  • 반복되는 내용을 조금씩 덜어내고, 세부 기능 중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 같은 기능으로 대체
  • 기본 기능(수정·삭제)은 생략하고, 사용자 입장에서 가치 있는 기능 중심으로 구성
  • 시간 관계상 시연에서 보여줄 수 없는 기능은 영상으로 제작해 발표 자료에 포함

수정된 발표 자료를 교수님께 다시 드렸는데, 늦은 시간임에도 빠르게 확인해 주시고 좋은 피드백을 남겨주셨습니다.

2a207ecd-9918-45c7-9341-0236d8cb5492_%E1%84%87%E1%85%A9%E1%86%A8%E1%84%89%E1%85%A1%E1%84%87%E1%85%A9%E1%86%AB.png

[리허설]

금요일 발표회를 앞두고 수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총 세 차례 리허설을 진행했습니다. 학과에서 마련해 준 리허설 자리 외에도, 팀원들끼리 모여 계속 호흡을 맞췄어요.

  • 전체적인 흐름이 자연스러우면서도 효과적인 발표를 위해 계속 고민
    • 저는 발표 자료를 계속 다듬었고,
    • 발표를 맡은 팀원은 2~3장의 대본을 외우며 연습했고,
    • 시연을 맡은 팀원은 발표자의 속도에 맞춰 시연을 조율하며 호흡을 맞춤
  • 교수님들의 예상 질문을 준비해 답변을 연습
  • 무엇보다 제한된 10분 안에 끝내기 위해 시간 체크를 반복

☀️ 발표 당일 아침 8시에도 모여 최종 점검을 했습니다.

image.png

IMG_3672.jpg

발표회 당일

[발표]

  • 발표를 담당한 친구가 군더더기 없이 완벽하게 준비한 덕분에 발표를 매우 잘 해주었고, 많은 박수를 받게 되었습니다.

%E1%84%87%E1%85%B3%E1%86%AF%E1%84%85%E1%85%A9%E1%84%80%E1%85%B3_%E1%84%8B%E1%85%B5%E1%84%86%E1%85%B5%E1%84%8C%E1%85%B5_%E1%84%8E%E1%85%A5%E1%86%B7%E1%84%87%E1%85%AE_%283%29.png

[심사위원 교수님들의 피드백]

발표회는 다른 졸업작품 발표회와 동시에 진행되어, 저희 발표에는 세 분의 교수님께서 심사위원으로 참석해 주셨습니다.

교수님들의 주요 피드백 내용은,

  • 대리 출석 방지 방법 필요: 학번만 알면 대리 출석이 가능하다는 점 → 방지할 수단 마련 필요 (세 분 모두 공통 피드백)
  • 제출 부서 생성 기능: 부서별로 참석자 명단 양식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옵션 제공 필요
  • 행사 후기 기능: 참석률 중심 통계 외에, 만족도 기반 통계 서비스가 있으면 더 유용할 것
  • 서비스 확장성: 현재는 숙명여대에 특화 → 다른 대학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 필요
    • ex) 숙명여대 학번은 7자리지만, 다른 대학은 자리 수가 다를 수 있음

예상치 못한 부분까지 짚어주신 피드백도 있었고, 이를 앞으로의 서비스 개선과 유지보수 과정에서 잘 반영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마무리

이번 발표회를 준비하며 팀원들과의 호흡이 정말 잘 맞았다는 걸 느꼈습니다. 특히 발표 준비 과정에서 그 진가가 발휘되었다고 생각해요.

이전에 청중으로서 보았던 두 차례의 졸업작품 발표회를 떠올리며, 무엇이 좋았고 무엇이 아쉬웠는지를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준비성이 부족해 보이지 않게, 부끄럽지 않게 해내자.”는 마음가짐으로 임했습니다. 막바지 개발과 수차례의 리허설을 거쳐 결국 팀원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낼 수 있었어요.

하지만 졸업작품 발표회라는 큰 산을 하나 넘겼을뿐, 아직 11월에 있을 졸업작품 전시회가 남아 있다는 점..😅

앞으로도 지속적인 사용자 테스트와 유지보수를 거쳐, 최소 연말까지는 서비스를 꾸준히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