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숑이의 블로그
블로그 홈소개

© 2025 Ryu Mi Sung. All rights reserved.

목차

들어가기 전에
스프린트 액션 아이템 관리 템플릿
액션 아이템 템플릿 사용 방법
1. 템플릿에 액션 아이템 내용 입력
2. Pull Request와 연동
마치며
에필로그
스노로즈자동화

[자동화] Notion × GitHub 연동으로 스노로즈 액션 아이템 자동화

류미성
2025년 1월 26일

들어가기 전에

프론트엔드 특성상 운영기획팀으로부터 기능 개선 요청이 오거나, 디자인팀을 통해 UI/UX 수정 요청을 받거나, 내부적으로 이슈를 발견하는 등 다양한 경로로 작업 아이템이 전달되곤 해요. 그러다 보니 그때그때 액션 아이템을 기록해 두지 않으면 놓치기 쉬워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프론트엔드팀은 Notion에 액션 아이템을 정리하고, Notion과 GitHub를 연동해 각 작업의 진행 상황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도록 했습니다. 덕분에 팀원들의 작업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 환경을 갖추게 되었어다.

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팀에서 Notion의 자동화 기능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


스프린트 액션 아이템 관리 템플릿

템플릿에 정리해 두면 이번 스프린트의 작업 목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행 상황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또 작업 항목이 많아져도 담당자를 일일이 확인하거나 이전 회의록을 다시 찾아봐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었어요.

c7d8c7fd-8f95-404f-96d4-7845e8000f05.png

액션 아이템 템플릿 사용 방법

1. 템플릿에 액션 아이템 내용 입력

작업 내용, 우선순위, 담당자만 입력하면 작업 ID가 자동으로 순차 부여되고, 해당 작업은 초기 상태인 Back log로 등록됩니다.

처음 템플릿을 사용할 때는 팀원마다 우선순위(낮음, 중간, 높음)를 정하는 방식이 달랐는데, 이후 각자의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회의에서 팀만의 기준을 함께 정리했습니다. (하단 기준 참고)

da349045-565b-46f9-af43-401d08eaea1d.png

2. Pull Request와 연동

작업 ID를 PR 제목에 포함하면 해당 작업과 연동된다. 이후 PR 상태가 변경되면 Notion의 작업 상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de478357-8bc0-4d23-a870-dcfb70369acf.png

5139d173-ebe6-4a2a-b76a-17ece337941d.png

PR 목록 형태로 보면 아래와 같아요~

de1ecf2b-168f-4d1a-b506-171312e19ec4.png

Notion의 작업 상태(Status)는 아래 기준에 따라 분류되며, 승인되거나 merge가 완료되는 등 GitHub 상태가 변경되면 Notion의 상태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ea5b5ddb-c52d-4d47-b065-40091e8edb57.png


마치며

예전에는 Notion의 기본 리스트 형태로만 액션 아이템을 정리했지만, GitHub와 연동해 작업 상태까지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스노로즈 프론트엔드 작업 관리의 효율성이 크게 높아졌어요.

인턴 기간에도 Slack, Notion, ChatGPT, Google Calendar, ClickUp 등 다양한 툴을 연동해 자동화된 환경을 경험하며, 자연스럽게 업무 관리 도구의 자동화에 관심이 생긴 것 같아요. 생각보다 많은 서비스들이 유기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는 점이 여전히 흥미롭고, 이런 자동화 덕분에 생산성도 눈에 띄게 향상되었어요. 앞으로도 이런 도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고자 합니다 :-)

에필로그

아쉽게도 아직 학생 무료 플랜을 사용 중이라, 이 기능은 8월 12일까지밖에 사용할 수 없다고 해요. 그 이후에는 다른 방법을 찾아봐야 할 것 같네요 🥲

ff0bb3ee-be14-4a27-b741-1000be253cb5.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