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Talk 이란?
- APPS 정기세미나에서, 매주 새로운 유익한 개발 관련 토픽을 선정하여 약 10분간 진행하는 기술 세미나
주제 선정 이유
- 사용자 테스트를 수차례 경험해보니 중요성과 필요성을 느꼈고
- 학회원들도 추후 이러한 경험을 통해 서비스를 개선해보는 경험을 해봤으면 한다.
어떤 내용을 발표하였는가
- 숙명여대 커뮤니티 ‘스노로즈’ 개발 계기 + 사용자 테스트 과정 공유
- 졸업작품 프로젝트 ‘체크메이트’ 사용자 인터뷰 + 테스트 과정 공유
1. 스노로즈
[참여 계기]
- “사용자가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올해 목표였고,
- 졸업작품을 통해 사용자 테스트를 경험해보니 그 중요성과 필요성이 크게 와닿고 더 많은 사용자를 만나보고 싶어서 스노로즈팀에 합류하게 되었다.
[기존 스노로즈]
- 모두가 알고 있는 스노로즈의 문제
- 준회원 → 정회원까지 등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이슈 (수동 인증 방식)
- 포인트 업데이트가 느림
- 댓글 작성이 완료되는데 상당한 시간 소요 등등
- 마지막 리뉴얼인 시점인 6년전에 WordPress와 php로 개발
[이후 스노로즈]
- 졸업생 + 재학생으로 구성된 숙명인들이 React, Spring Boot, AWS 등으로 개발하며, 기존 문제점들 개선
[사용자 테스트 진행]
- 알파 테스트 (1차)
- 대상: 스노로즈팀 11명 (Front-end, Back-end, Infra, 운영기획팀)
- 테스트 기간: 9/9(월) ~ 9/18(수) 10일간 진행
- 베타 테스트 (2차)
- 대상: 학우 50명
- 테스트 기간: 9/23(월)~29(일) 7일간 진행
[테스트를 통해 느낀 점]
-
다양한 디바이스, 버전, 브라우저에 대해 대응 필요
-
브라우저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 상승 (그동안 Chrome 환경에 익숙했었던 나...)
- 예시1) Safari는 input 창에 포커스가 되면 화면이 확대 → meta 태그 속성을 수정
- 예시2) Safari는 input 창에 포커스가 되면 기존 색상이 아닌 노란색으로 변경되기도… 🤔
→ 다양한 환경에서의 테스트와 고려가 필요
[자세한 회고]
[스노로즈] DAU 2,200명 서비스 리뉴얼: 알파 및 베타 테스트 경험 회고 (D-6)

2.졸업작품 프로젝트
[사용자 테스트 진행 계기]
이번 년도 3월, 교내 SW중심사업단 교직원들로부터 교내 비교과 활동의 출석 관리 문제를 인지 하게 되었고, 소프트웨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행사 관리 시스템 ‘체크메이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서비스 기획 구체화에 앞서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운이 좋게 SW중심사업단이 주최하는 행사에서 사용자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사용자 테스트 진행]
- 행사가 있을 때마다 테스트를 진행했고, 현장에 프로젝트 팀원들이 상주하며 사용자가 출석 체크 하는 과정을 모니터링 하였다.
[테스트를 통해 느낀 점]
- 서비스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면, 해결되었는지 점검 가능
- 서비스의 추가 개선 사항을 발견
- 예시1) 현장에서만 확인 가능하던 참석자의 출결 여부를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확인
- 예시2) 불참자에 대한 전화 기능 추가
- UI/UX를 고려한 서비스 개발 가능
사용자 테스트의 장점
- 문제 상황을 미리 파악이 가능하고 대응이 가능
- 위 과정을 통해 UI/UX 개선이 가능
- 사용자를 고려한 서비스를 개발 → 나중에 발생할 문제 상황을 줄여줌
마치며
올해 목표였던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만나기”를 달성하면서, 예상보다 훨씬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발팀 내부에서 여러 차례 QA를 진행했음에도, 실제 사용자 테스트를 할 때마다 새로운 문제들이 발견됐다. 그동안 혹시 사용자가 아닌 개발자의 관점에서만 테스트를 해왔던 건 아닌지 스스로 돌아보게 됐다.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발견한 문제들은 오히려 반가웠다. 언젠가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었고, 이를 해결해 나가면서 서비스가 사용자와 점점 가까워진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 세미나를 통해 이러한 사용자 테스트의 가치를 학회원들과 나눌 수 있었던 점도 의미 있었다 🤗